- 뇌혈관 중재시술(인터벤션치료)
뇌혈관 중재시술은 뇌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미세도관을 두개 내 혈관에 위치하여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뇌혈관 중재적 시술은 두개골을 열어서 새행하는 수술이 아닌 첨단영상을 이용하는 혈관내 시술로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급성뇌경색 혈전제거술, 경동맥 협착의 스텐트 시술 등이 있습니다.
뇌혈관 조영술
뇌혈관 조영술이란 대퇴동맥(사타구니 부위)을 통해 도관을 경부혈관에 위치한 후 조영제를 이용하여 X-ray 상에서 뇌혈관을 정확하게 볼수 있게하는 검사를 말합니다. 뇌혈관 조영술을 이용해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 뇌혈관협착, 급성뇌경색환자의 혈관폐색 및 경동맥협착등의 뇌혈관질환을 정밀하게 진단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합니다.본원에서는 2014년에 도입한 최첨단 Trinias Digital Angiography System 혈관조영장치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영상을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본원에서는 뇌혈관 조영술 검사를 당일 입원 후 당일 퇴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하여 환자분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뇌동맥류의 코일색전술
뇌동맥류는 뇌의 혈관에 생기는 질환의 일종으로 혈관벽의 한 부분에 약한 부위가 생겨 마치 작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합니다.
50~60대에 가장 많이 발견되며, 파열성 뇌동맥류의 경우 일년에 인구 10만 명당 10~20명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발병자의 절반 정도는 병원 도착 전에 사망하거나 회생 불가능한 상태에 처할 수 있는 위험한 병이며,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하더라도 약 50% 정도가 치료 도중 사망 또는 중증의 장애를 가지게 되는 매우 무서운 질환입니다.
뇌혈관 코일색전술의 장점으로는 두개골을 절개하는 외과적 수술보다는 간단한 방법이며, 시술 이후에도 대퇴부의 작은 흉터외에는 흉터가 전혀 남지 않습니다. 간단한 시술방법이므로, 그만큼 회복 기간도 짧고, 경과가 좋을 경우 단기간의 입원 후 퇴원이 가능하며, 뇌 조직 손상 위험이 없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경동맥협착의 스텐트시술
경동맥은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뉘어지며, 외경동맥은 주로 두개골 밖에 있는 피부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고 내경동맥은 두개골 내의 뇌나 신경조직에 혈액을 공급합니다.
외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더라도 다른 혈관을 통해서 비교적 풍부하게 혈액이 공급되므로 특별히 문제가 발생하지만 내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에 혈액공급이 감소할 수 있으며, 내경동맥 벽에 침착되어 있는 지방 조직들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의 말단 부위로 흘러가 혈관을 막을 수도 있읍니다.
이처럼 내경동맥을 포함한 경동맥이 좁아지는 경우를 경동맥 협착증이라고 지칭하며, 이는 혈류를 감소시키거나 혈관을 막게 되어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 뇌졸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치료 대상이 됩니다. 경동맥 협착증의 치료로는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방법, 중재시술(풍선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술), 외과적인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약 70% 이상의 협착을 보이는 경우 중재시술 및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심한 경동맥협착증 시 스텐트 삽입술로 허혈성 뇌졸중을 예방하고 있습니다.
급성뇌경색환자의 동맥내 혈전제거술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의 치료는 시간과의 싸움이며, 병원에 늦게 도착 시 치료시기를 놓쳐 평생 후회할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급성 뇌경색에 대한 치료는 정맥내 혈전용해제 투여로 막힌 혈관을 뚫을 수 있으며 이는 발병후 4~5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하여야만 할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정맥 내 혈전용해제 투여가 불가하거나 실패할 경우 효과가 즉각적인 인터벤션치료로 뇌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동맥내로 미세도관을 삽입하여 혈전제거술을 시행합니다.
이 시술은 환자의 사타구니 부위에 3~4㎜ 가량의 작은 구멍을 낸 뒤 대퇴동맥으로 ‘카테터(도관)’ 라는 가는 관을 뇌혈관까지 밀어 올린 후 동맥 내 혈전에 직접 혈전 용해제를 투여하거나 재개통 도관 및 스텐트형 혈전 제거 장비를 사용해 기계적 혈전 제거술을 하거나, 좁아진 혈관을 풍선으로 넓히고 스텐트 삽입술을 하는 방법으로 혈관의 재개통률을 증가시킵니다.